1. UART로 확인하기
UART로 프린트하고 싶은 걸 찍어서 putty 혹은 터미널로 확인하기.
2. LED로 확인하기
PORTE = jsontemp[0];
이런식으로 코드를 짜서 실행시켜보면 jsontemp배열의 0번째 char를 확인할 수 있음.
주의: char는 1byte 즉 8bit라 가능한 것. int는 4byte라 확인 안 됨.
ex) 00110010 -> 10진수로 50 -> 16진수로 0x32 -> 아스키코드로 '2'
3. 디버깅 기능 이용하기
하지만 내가 가지고 있는 stlink는 싼 거라 디버깅 기능이 안 됨. 되는 비싼 장비를 이용해야 함.
4. 비주얼스튜디오로 확인하기
대충 비슷하게 코드를 짜서 비주얼 스튜디오로 돌려보며 디버깅을 해볼 수 있음.
하지만 지금 내 상황이 비주얼스튜디오에선 문제가 없는데 아트메가에서만 안 된다는 거...
5. 오실로스코프로 찍어보기
파형을 보고 5v면 1 0v면 0 이렇게 이진수를 확인할 수 있음.
728x90